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영유아 응급처치

by 금땡마미 2022. 11. 16.
반응형

기도가 막혔을 때

아이가 수유 중 숨을 잘 못 쉬는 경우는 우유가 기도로 들어가서 얼굴이 파랗게 질리고 호흡곤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응급처치를 하여야 합니다. 일단 119에 신고를 한 뒤 아기를 아래를 향하게 안아 가운데 등을 두드려주어야 합니다. 그 이후 다시 돌아 눕혀 가슴 중앙을 가볍게 5회가량 압박해주면서 이물질이 나왔는지 확인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효과가 없다면 아기 얼굴을 위로 한 뒤, 팔이나 무릎으로 아기를 받쳐준 뒤, 두 손가락으로 아기 가슴 가운데 뼈 밑 부분에 대고 3초마다 흉부를 압박하는 것과 등 두드리기를 교대로 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물질 삼켰을 때

혹시 아이가 자라면서 여러 물건을 입에 넣고 삼키기도 하는데 세제 등 위험한 물질을 삼켰을 때에는 빠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이런 경우 왼쪽 팔이 아래로 가게 옆으로 눕혀야 독극물이 소장까지 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상태로 무조건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아이 입안에 이물질이 있다면 두 손가락으로 아이의 입을 벌리고 하악골을 잡아당겨 이물질이 더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입 안의 이물질을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이미 아이가 삼켰을 때에는 이물질이 입을 지나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할 경우 아이를 뒤에서 양팔로 안아 배꼽과 명치 중간 정도에 주먹을 쥔 손을 다른 손으로 압박하는 하임리히법을 시도해야 합니다. 만약 아이가 삼킨 것이 알약이라면 즉시 토하게 하고, 물약이라면 우유를 먹여 토하게 해야 합니다. 만약 먹은 지 시간이 좀 지난 상태라면 물을 많이 먹이고 바로 병원에 데려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대부분 이물질은 위장을 거쳐 자연적으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자칫 기도가 막혔을 때에는 빠른 시간 내에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응급처치법을 시행해야 합니다. 평소에 아이가 먹기 쉬운 크기로 잘라 먹이고, 흔들리기 쉬운 교통수단 안에서는 음식물을 먹이지 않으며, 식사 시간에는 집중해서 밥을 먹고 갑자기 깜짝 놀라는 일이 없도록 해주어야 아이의 삼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낙상했을 때

아이가 움직임이 많아지면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낙상사고일 경우에는 아이 머리에 난 상처 및 의식 유무 등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당장 증상이 없더라도 3일 정도는 아이의 상태를 지켜보아야 합니다. 만약 아이가 의식이 없거나 눈에 초점이 없을 때, 울음을 멈추지 않을 때, 경련을 일으키거나 쳐질 때, 구토를 할 때, 외상이 확인될 때는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낙상사고는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므로, 침대나 소파 등 아이가 떨어질 수 있는 곳에는 매트를 항상 깔아두고 위험한 곳은 미리 가드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밟고 올라갈 수 있는 식탁 의자 등은 창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련을 일으킬 때

아이가 일으키는 경련은 고열로 인한 열성경련, 발작 등으로 인한 경련성으로 나뉘므로 원인에 따라 대처할 수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은 열성경련일 수 있으며, 생후 14~18개월경에 주로 발생합니다. 아이가 경련을 일으키면 일단 편하게 눕힌 뒤 고개를 돌려주어 토사물이 기도를 막는 것을 예방하여야 합니다. 의식을 잃은 아기에게는 아무것도 먹여서는 안 되며, 열성경련이라면 좌약을 넣어주고, 미지근한 물로 아이의 몸을 닦아서 열을 내려주어야 합니다. 경련 과정에 대해 몇 분간 지속되는지, 눈동자 방향이 어디로 돌아갔는지, 손발의 떠는 모습 등을 기록해 두면 나중에 의사의 진단 시 도움이 됩니다.

화상을 입었을 때

아이가 화상을 입었을 때는 피부가 빨개지는 가벼운 1도 화상의 경우 자연스럽게 치유될 수 있지만 2도 화상부터는 피부가 부어오르며 물집이 생깁니다. 흉터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관리를 잘해주어야 하며, 3도 화상은 피부 아래 신경까지 손상을 입은 것이므로 무조건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아이의 화상에는 상처 부위를 흐르는 물에 식혀주어야 합니다. 연고나 얼음 등으로 상처 부위에 자극을 주면 안 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물집을 함부로 터뜨리면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화상 부위를 덮어준 상태로 전문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아이가 화상을 입지 않으려면 전기 제품이 아이가 쉽게 만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콘센트 등을 안전 덮개로 막아주어야 합니다. 부엌은 아이에게 위험한 요소들이 많으므로 안전문 등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