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4~5개월이 되면 아기는 침을 많이 흘리게 됩니다. 침을 너무 많이 흘리는 것 같아서 걱정이 되기도 하지만, 침을 흘리는 것이 발달에 필요한 과정이라고 하니, 오늘 아기가 흘리는 침을 흘리는 이유, 침의 역할,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침은 왜 흘릴까?
생후 2~3개월무렵 아기들은 잇몸과 침샘이 발달하게 되는데, 근육이 발달되지 않아 삼킴 기능이 아직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침을 삼키기 못하고 흘리게 되는 것입니다. 아기들은 생후 6개월 전후에 침을 흘리고, 늦으면 만 3~4세까지 침을 흘린다고 하는데 보통 유치가 나기 시작하면 침 분비량이 늘게 되고 손을 물고 빨면서 일시적으로 침의 양이 급증하게 됩니다. 따라서 아기가 발달하면 자연스럽게 침흘림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2. 침은 어떤 기능을 할까?
[구강내 수분 유지와 소화를 용이하게]
아기가 침을 흘리는 것은 마냥 비위생적인 것은 아닙니다. 아기가 흘리는 침은 구강 점막을 보호하는 뮤신과 소화를 도와주는 아밀라아제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의 성분은 녹말을 분해하고, 입안이 마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강 내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녹말을 분해하면서 아기가 음식을 섭취할 때 용이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침을 흘린다면, 약한 아이의 피부에 침 성분이 닿아 침독을 일으키거나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구내염과 편도염 같은 질환이 있을 경우에도 구강 내 염증 떄문에 침 분비량이 늘어날 수도 있으니, 면밀한 관찰을 통해 아기가 침을 흘리는 이유를 잘 파악해주어야 합니다.
3. 침 관리 방법은?
[자주 닦아주고 보습에 신경쓰기]
침이 묻은 피부는 예민해지기 쉽습니다. 아기의 연약한 피부가 침으로 젖고 마르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피부 장벽이 손상되고 건조해지면서 울긋불긋한 접촉성 피부염이 생기는데 이것이 침독입니다.
침독이 심해져 피부에 염증이 생기거나 피부가 벗겨지고 진물이 생기면 증상이 악화된 단계이므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무엇보다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초기에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티슈는 아기에게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입 주변을 닦을 때는 물이 살짝 묻은 손수건을 사용해주시고, 이왕이면 물로 닦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침을 닦아낸 후에는 반드시 보습에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각종 피부염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습을 할 때는 수딩젤, 로션, 크림 순으로 발라주시면 되고, 흡수력이 좋은 제품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수딩젤의 쿨링작용으로 피부를 진정시키고, 로션으로 보습을 준 뒤, 크림으로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만지지 않도록 졸려하거나 잠들어 있을 때 발라주는 것이 좋으며, 2차적인 감염을 막기 위해 아기의 손톱을 짧게 잘라주고, 긁지 않도록 손싸개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침은 끈적한 성분 때문에 입가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목을 타고 흐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침 관리를 더욱 더 어렵게 하므로, 평소 아기에게 턱받이를 해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침을 수시로 닦아주고 보습제를 발라주었는데도 소용이 없다면 병원에서 스테로이드 연고를 처방받아 발라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하면 입에 연고가 들어가지 않을까 하는 염려로 사용을 꺼리는 엄마들이 많으나, 가장 약한 정도의 스테로이드제는 1일 2~3회 바르는 것이 적당하며, 오히려 침독 증상을 방치하면 상처 부위가 넓어지고 손으로 자극하면서 2차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의사의 처방 없이 연고를 구매해 쓰거나 보습제처럼 많이 수시로 바르지 않아야 하며, 침독이 생긴 부위에만 얇게 바르고, 아기가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눈곱 원인, 시력 완성 시기, TV를 보면 눈이 나빠질까?, 눈병 대처법 (0) | 2022.11.06 |
---|---|
생후 7개월 아기 발달, 놀이 추천 (0) | 2022.11.06 |
아기 수유에 관한 것 (수유정체기, 밤중수유, 수유자세, 트림, 딸꾹질 등) (0) | 2022.11.06 |
아기 필수 예방접종 종류, 맞는 시기 (0) | 2022.11.06 |
생후 6개월 아기 발달, 놀이 추천 (0) | 2022.11.05 |
댓글